청년희망적금
2022년 2월 첫 출시를 앞두고 있는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은 저축을 장려하고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해 추진한 지원 사업으로 저축장려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지원이 되는 청년 맞춤형 적금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상품은 2월 21일(월)에 11개 시중은행에서 정식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본인이 청년희망적금 상품에 가입이 가능한지 알 수 있는 사전 확인은 2월 9일(수) ~ 2월 18일(금) 동안 이루어집니다.
2022년 1월 26일 기준 시중은행보다 높은 이자를 주는 적금 상품이지만 매달 납입 금액 한도는 50만 원으로 크지 않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그러나 목돈을 모아야 하는 청년이라면 2년 동안 타 적금 상품 대비 더 높은 수익을 가져올 수 있으니 가입 요건을 충족하신다면 가입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2년 동안 매달 50만 원 납입 후 만기 시 받는 금액은 '1,200만 원 + 시중 금리 이자 + 36만 원(저축장려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 가능한 은행
- 국민은행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우리은행
- 농협은행
- 기업은행
- 부산은행
- 대구은행
- 광주은행
- 전북은행
- 제주은행
2022년에는 청년맞춤형 지원 사업 중 하나인 청년희망적금을 시작으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도 신설될 예정이며 보다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청년내일저축계좌를 개편하여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밖에도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사업,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취업장려금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지속해나갈 예정입니다.
가입 대상 자격 및 지원 내용
가입 요건
- 나이 : 총급여 3,600만 원(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만 19~34세 청년(1987년 2월 22일 이후 출생자)
- 병역이행을 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산입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병역이행기간이 2년인 86년생은 연령 요건을 충족하여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 소득 : 2021년 1월 ~ 12월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가 3,600만 원(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 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하실 수 없습니다. 금융소득이란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을 의미하며 2,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가입 대상자에서 제외됩니다.
- 2021년 1월 ~ 12월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2020년 1월 ~ 12월 전전년도 소득으로 개인소득 요건으로 가입 가능 여부를 판단합니다.
- 2021년 1월 ~ 12월 소득은 2022년 7월 경 확정됩니다. 단, 가입 이후 확정된 직전 과세기간 소득이 개인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저축장려금은 지급되나,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지원 내용
-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2년짜리 적금 상품입니다.
- 저축장려금 :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 이자에 더해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1년 차 납입액의 2%, 2년 차 납입액의 4% 만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매달 50만 원씩 2년 납입하는 경우 최대 36만 원 저축장려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비과세 : 이자소득에 대한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을 정리하자면, 2년 짜리 적금 상품으로 매달 최대 50만 원 납입할 수 있으며 2년 만기 시 저축장려금(1년 차 납입액 2%, 2년 차 납입액 4%)과 적금 이자에 대한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 절차
- 2월 9일 ~ 2월 18일 : 11개 시중은행 앱 내 팝업창 또는 배너 광고에 떠 있는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통해 청년희망적금 가입 가능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2월 21일 : 11개 시중은행에서 청년희망적금 정식 출시
- 청년희망적금 가입 희망자는 11개 은행 중 1개 은행을 선택하여 1개 계좌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 11개 은행 앱 또는 은행 지점으로 방문하여 가입(추후 2022년 6월 경 SC제일은행도 추가될 예정)
청년희망적금 관련 추가 문의사항
- 소득이 없는 청년도 가입 가능한가요? 국세청을 통해 소득금액 증명이 가능한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국세청을 통해 소득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 2020년 1월 ~ 12월 소득은 개인소득 요건을 충족했으나 이후 2021년 1~12월 개인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가입이 취소되나요? 아닙니다. 가입은 유지되며 만기까지 납입 시 저축장려금은 지급됩니다. 단,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없습니다.
-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는 언제 참여할 수 있나요? 2월 9일(수)부터 2월 18일(금)까지 11개 은행 앱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주말 제외하고 영업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참여 가능합니다.
- 청년희망적금은 언제까지 가입할 수 있나요?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해야 합니다.
- 시중금리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있나요? 2월 9일(수)부터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예금상품금리 비교사이트에서 은행별로 금리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비교 후 시중금리가 가장 높은 곳에서 가입하시면 만기 후 받을 수 있는 이자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 2월 21일(월)에 정식 출시됩니다. 나이와 소득 요건을 충족하신다면 가입하셔서 2년 후 큰 목돈을 만들어 큰 부를 이루는데 보탬이 되길 바랍니다. 다만 매달 납입할 수 있는 한도가 낮은 것이 매우 아쉽네요ㅎㅎ
'돈이 일하게 하라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시 청년 신혼부부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이자지원 신청 (0) | 2022.03.23 |
---|---|
2022년부터 시행하는 금융제도 모르면 당신만 손해입니다. (0) | 2022.01.31 |
4세대 실손의료보험 전환 후 보험료 50% 할인 유리할까? (0) | 2022.01.26 |
소기업 소상공인 방역물품지원금 신청 사이트 (0) | 2022.01.20 |
대학생 20대 30대 체크카드 추천 (0) | 2021.08.07 |